본문 바로가기
경제

우선주란? 우선주 우 1우B 2우B

by 브리오슈롤 2021. 9. 8.
반응형

우선주 무엇일까요?

주식의 종목을 살펴보면 기업명 뒤에 우, 2우B, 3우B라는 단어가 붙어있는 종목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익숙한 우선주는 삼성전자우라는 종목입니다. 오늘 시간 외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6개의 종목이 시간 외 단일가 거래에서 시간 외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종목들의 종목 이름을 살펴보면 덕성우, 노루홀딩스우, 동양3우B, 동양2우B 라는 종목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의 종목들이 모두 우선주입니다. 덕성이라는 기업의 우선주인 덕성우, 노루홀딩스라는 기업의 우선주인 노루홀딩스우, 동양이라는 기업의 우선주인 동양3우B, 동양2우B입니다.

 

그렇다면 우선주는 무엇일까요?? 우선주는 단어 그대로 우선이 되는 주식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것에 우선이 될까요? 바로 배당을 우선적으로 지급하고 기업 해산 시에는 잔여재산의 배분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게 되는 주식입니다. 우선적으로 진행되는 주식이 바로 우선주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우선의 권리를 받기 위해서 보통의 경우 의결권을 부여하지 않고 보통주 대비해서 높은 배당률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추세는 다른가요?

보통주와 우선주는 동일한 기업에 대하여 조건을 달리하는 주식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 보면 추세가 비슷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각각 주식으로 판단이 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동일한 추세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일봉차트

 

삼성전자우 일봉차트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선주의 일봉 차트를 살펴보면 큰 추세로 살펴보면 비슷한 추세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2 거래일을 살펴보면 삼성전자는 하락 전환하는 모양을 보이지만 삼성전자우선주는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보여드렸던 우선주들을 살펴보면 보통주는 시간 외 거래에서 상한가를 기록하지 않았지만 우선주들만 상한가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면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우선주의 경우 보통주보다 거래량이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 기업의 보통주는 미동도 없는데 우선주는 약간의 거래로 상한가가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우, 1우B, 2우B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996년 상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이 시기를 기준으로 이전에 발행된 우선주의 경우는 기업명 뒤에서 우 라고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구형우선주라고 하며 보통주보다 배당을 1% 이상 더해주는 우선주입니다. 그리고 1996년 이후 발행된 우선주의 경우 신형우선주라고 하며 확정된 이자를 주기 때문에 채권(BOND)을 차용하여 1우B, 2우B 등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우선주 앞의 숫자는 몇 번째 발행한 우선주임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우선주는 발행 시마다 배당률과 의결권 정도를 구분하는데 이러한 부분의 차등을 적용하면 여러 차례 우선주를 발행하게 되면 우 앞에 1, 2, 3과 같은 발행 순서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